Node.js 라이브러리 배포 파이프라인에 플러그인 시스템 도입기
5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Node.js 라이브러리 배포 파이프라인에 플러그인 시스템 도입기

이 게시물은 토스 노드 챕터에서 100개 이상의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면서 겪은 문제를 플러그인 시스템으로 해결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문제점과 요구사항

  • deploy-cli가 옵션 증가로 복잡해지고 업데이트가 번거로움
  • 공통 라이브러리 수정 없이 독립적으로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함
  • 개발자가 원하는 시점에 쉽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함

플러그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ESLint의 플러그인 시스템을 참고하여 deploy plugin 구상
  • 플러그인은 배포 사이클의 여러 이벤트에 훅을 걸어 독립적으로 동작
  • 예시로 빌드 결과 스캔, 코드 생성, 사용 현황 수집, 메타데이터 경량화, 의존성 버전 관리 등 다양한 플러그인 소개

결론

플러그인 시스템 도입으로 복잡한 배포 파이프라인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하고 여러 레포에서 효율적으로 운영 중이며, 노드 챕터의 경험이 라이브러리 관리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연관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