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치테이블의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 (feat. Terraform, AWS)
12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테라폼 환경 구축 및 관리

캐치테이블의 DevOps팀은 AWS EKS로의 서비스 전환을 위해 테라폼을 사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하였습니다. 테라폼 버전은 1.4.5에서 1.8.0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AWS S3와 DynamoDB를 백엔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행 환경은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분리되어 있으며, 민감한 서비스는 별도로 관리합니다. 특히, network_topology 환경은 여러 AWS 계정의 VPC를 Transit Gateway로 연결하여 관리하며, 복잡한 리소스 구성을 YAML 파일로 관리합니다.

domain_topology 환경

여러 퍼블릭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 domain_topology 환경을 구축하였고, Route53 호스트존과 ACM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이 환경은 리전 종속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검증 레코드는 수동으로 추가해야 합니다.

current_resource 관리

리소스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템플릿 파일을 활용하여 Markdown 문서를 생성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팀원들은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