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고준수율 개발기: 정의부터 구현 및 성능 개선까지
1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출고준수율 개발기
출고준수율은 상품의 출고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계획된 일정 내에 출고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냅니다. 출고준수율을 계산하기 위해 초기에는 소통 문제가 발생했으나, 엑셀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을 개선하였습니다. 초기 개발 후, 주문량 증가로 인해 조회 성능 문제가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시 적용과 쿼리 병렬 호출을 도입했습니다.
성능 개선 방법
- 캐시 적용: 초기 캐시 도입으로 조회 속도를 개선했으나 데이터 정합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쿼리 병렬 호출: 독립적인 쿼리를 병렬에 호출하여 응답 시간을 단축했습니다.
- Materialized View: 쿼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MV 테이블을 구성하여 조인 비용을 줄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출고준수율 조회 API의 응답 속도를 200ms 이내로 개선하였으며, 동료들과의 협업과 기술적 경험이 중요한 기회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