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 서비스 "꿀템"을 만들기 위한 여정(네? 다음달까지요?) -2편
1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기술 스택 및 아키텍처 개요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꿀템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Node.js와 Fastify를 기반으로 설정했습니다.
프론트엔드는 React 18.2와 TypeScript를 사용하고, API 호출을 위해 Tanstack Query를 활용했습니다.
서버 측에서는 C#과 Node.js 외에 Spring과 Kotlin을 적용하여 백엔드를 개발하였고, Oracle DB를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합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통합
프론트엔드는 별도의 서버 없이 플러그인 형태로 구성되고, Fastify 프레임워크를 통해 API 호출을 처리합니다.
Admin 화면을 통해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며, XSS 방어와 같은 보안 요소를 강화하였습니다.
기술적 도전과 해결
HTMX와 Thymeleaf를 이용하여 빠른 UI 구성을 목표로 하였으나, JSON 데이터 통신으로 인해 적응이 필요했습니다.
Oracle DB의 PK 채번 문제와 QueryDSL 사용 중 발생한 이슈도 해결하며, 다양한 개발 도구를 통해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