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공통 라이브러리를 만들기 시작했나
3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배경과 과정

이 게시물은 컬리의 급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개발 표준화 필요성과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배경을 다룹니다.

외부 라이브러리와 내부 제작의 장단점

  • 외부 well-known 라이브러리는 개발 시간 단축과 다수 프로젝트 적용에 유리하지만 무겁고 신뢰 문제, deprecated 위험이 있음
  • 내부 제작은 가볍고 신뢰 가능하나 개발 및 유지관리 비용과 즉각 대응 필요성이 존재함

공통 라이브러리 시작과 관리 원칙

  • 물류 웹개발팀은 react-boiler-plate를 제작해 신규 프로젝트에 적용
  • lerna 기반 모노레포와 npm 패키지로 기능 공유와 배포를 효율적으로 관리
  • 문서화, 코드 리뷰, 테스트 스위트를 통한 코드베이스 신뢰성 확보

기능 구현 사례: add-separator

  • 정규식 대신 작은 기능 단위 TDD로 숫자 구분자 추가 기능 구현
  • 성능 테스트에서 정규식 대비 약 20% 향상된 성능 확인

마치며

작은 기능부터 점진적 발전과 공유 문화를 통해 재발 비용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며, 개발 문화 성숙에 기여하고자 함.

연관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