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C10K 문제 개요
C10K 문제는 동시 사용자 1만명이 접속하는 서버 구현의 도전 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1999년 Dan Kegel이 제기한 이 문제는 지금도 여전히 중요합니다.
서버 구현 방안
기본적으로 1만개의 소켓을 열어야 하며, 기존의 fork() 방식이나 thread()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메모리와 CPU 자원 소모가 클 수 있습니다.
성능 문제
동시 접속자가 증가할수록 Apache httpd의 성능은 떨어지며, 이에 비해 nginx는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C10K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on-blocking I/O와 asynchronous I/O 기술이 필요합니다.
- epoll(), kqueue(), select() 등의 기술이 제안됩니다.
- Node.js와 nginx는 이미 epol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Java에서는 NIO 기술이 도입되어 비동기 처리를 지원합니다.
이 기술들은 과거의 문제를 해결하며 오늘날의 고성능 서버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