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가 싱글스레드 서버라는 미신(feat. Node.js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269
AI 요약

이 글은 AI가 원문을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Node.js의 싱글스레드 서버 신화와 실제 구조

이 게시물은 Node.js가 단순한 싱글스레드 서버라는 오해를 해체하고, 실제로는 멀티스레드 요소를 활용하는 복합 구조임을 설명합니다.

핵심 내용

  • Node.js는 메인 스레드에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며 이벤트 루프를 돌린다.
  • 오래 걸리는 I/O 작업은 libuv의 워커 스레드에 위임하여 비동기 처리를 한다.
  • 개발자는 메인 스레드 위주로 코드 작성하기 때문에 싱글스레드처럼 느끼지만, 내부적으로는 멀티스레드가 작동한다.
  • CPU 집약적인 작업은 메인 스레드가 처리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스케일아웃으로 여러 Node.js 인스턴스를 띄워 병렬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 작업을 해결한다.

실무 적용 사례

네이버페이 타임라인 서버의 60억 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사례를 통해 Node.js가 CPU 한 코어를 집중 사용하지만, k8s 기반 스케일아웃으로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결론

Node.js는 전통적 의미의 싱글스레드 서버는 아니지만, 개발자 입장에서는 싱글스레드처럼 다룰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이며, 목적에 맞게 설계하면 견고하고 확장성 좋은 서버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연관 게시글